SW백문백답

스위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.


  • 오픈소스SW
  • 오픈소스SW의 라이선스 정책이나 사용 가이드 등을 확인하고 싶습니다.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?

오픈소스SW에 대한 라이선스는 소스코드와 함께 제공되는 notice/readme/copytight 등 내부 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혹은 오픈소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별도의 안내문을 통해 고지합니다.

관련하여 한국저작권위원회 및 NIPA(정보통신산업진흥원)에서는 오픈소스 라이선스에 관한 다양한 정보 및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.

한국저작권위원회

오픈소스SW 라이선스 종합정보시스템 (www.olis.or.kr)

주요 제공

서비스

관련 정보 제공

오픈소스 SW라이선스 소개

오픈소스 라이선스 가이드

분쟁 대응방안 가이드

오픈소스 동향 등

오픈소스SW라이선스 관련 상담 및 컨설팅

라이선스 검증 지원 서비스 코드아이(CodeEye)’

개발된 SW에 대한 오픈소스SW 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라이선스 검사 서비스

NIPA(정보통신산업진흥원)

공개SW 포털 (www.oss.kr)

주요 제공

서비스

관련 정보 제공

공개SW 동향활용라이선스중요성 등

공개SW 법률 컨설팅 지원 (국내 중/소 IT 기업 대상)

라이선스 검증 지원 (국내 개인대학중소기업 대상)

개발된 SW에 대한 공개SW 사용 현황 파악 및 라이선스 검증

공개SW 라이선스 교육

공개SW컨설팅 (공공기관중소기업 대상)

대상 기관 환경 분석을 통해 공개SW도입타당성 분석 및 시스템구성 전환 검토 등 지원

※ 공개SW’와 오픈소스SW’ 모두 그 의미는 소스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개작할 수 있고 재배포할 수 있도록 허용된 SW(혹은 그 소스코드 및 목적코드)‘로 동일합니다다만 과학기술정통부 등은 공개SW’문화체육관광부는 오픈소스SW’로 명명하고 있습니다.

 

자세한 내용은 상기 명시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
AI챗봇에
문의하기